서브상단이미지

 작성자 소리  작성일 2013.02.13  
 첨부파일  

이호기 원장 공동집필 [두개저외과학 교과서] 출간

두개저외과학 교과서 발간

 

소리 이비인후과 이호기 원장 집필 참여!

 

 

우리나라 두개저외과학의 질적 향상와 후학들의 교육을 위해서 한글 교과서의 필요성을 느낀 대한두개저외과학회는 학회와 구성원들의 축적된 연구와 임상경험 등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두개저외과학 교과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두개저외과학 교과서 개정판은 두개저질환을 치료하는 데 참여하는 여러 분야의 전문의 및 모든 의료인들에게 임상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하고 후학들이 훌륭한 두개저외과 의사가 되는데 있어 자양분 역할을 하여 대한두개저외과학회 및 두개저외과학의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이도 접근을 위한 중두개와 접근법


Middle Cranial Fossa Approach to Internal Auditory Canal

 

중두개와 접근법은 20세기 초에 처음으로 소개되었지만 중두개와 바닥의 수술해부학이 밝혀지지 않아 임상적 적용이 어려워 한동안 잘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W.House가 수술현미경을 도입하여 수술에 적용하면서 중두개와 접근법은 안면신경와 전정신경의 수술 및 소뇌교각에 생긴 종양의 치료에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는 청신경종양이 주로 큰 크기로 발견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따라서 청신경종양 수술의 일차적인 목표는 청각기능의 유지가 아니라 환자의 생명 보존을 위해 종양의 완전한 제거였다. 최근들어 MRI 진단기술의 발잘로 작은 크기의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청신경종양의 치료에서 청각기능 보존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중두개와 접근법은 종양의 완전제거와 함께 청각기능 및 안면신경을 보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다.

 

[서론 중에서]

 

 

 

 

 

 


 

 


이전글 : 주민등록번호 사용제한 및 회원정책 변경 안내
다음글 : 이호기 원장 공동집필 [보청기] 출간